Singer-Songwriter.
싱어-송라이터(singer-songwriter)지만 붙여서 쓰면 끊어 읽을 위치가 애매해져, 한국에서는 싱어송-라이터(sing-a-song-writer) 등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하지만, Singer-Songwriter가 맞는 말이다.
작곡가와 가수를 겸하는 사람을 말한다[1]. 보통 자기가 부를 곡을 직접 작사, 작곡하는 가수들을 싱어송라이터라 부른다. 이런 사람들은 보통 음악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고 자신의 음악적 성향에 잘 맞는 곡을 작곡하므로 명곡들을 많이 만들어낸다. 다만 실제로 작사, 작곡에 더해 편곡까지 스스로 하는 경우는 정말로 드물다. 대개 본인이 작사, 작곡한 곡을 다른 아티스트와 함께 편곡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작사, 작곡, 편곡, 악기 연주, 믹싱, 프로듀싱까지 스스로 하는 스티비 원더, 폴 사이먼 같은 아티스트도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작사, 작곡, 편곡은 물론 악기 연주에 레코딩, 믹싱에 프로듀싱까지 하는 싱어송라이터로 한대수, 조용필, 서태지, 신해철, 김원준, 김사랑, 김종완, 김윤아가 대표적이다.
한국에선 작사 작곡 능력에 대한 평가를 제쳐두고 작사 작곡하는 가수라고 하면 좋게 보는 편이다. 또한 커리어 전체에 걸쳐서 송라이팅에 참여한 곡의 수가 소수인데도 싱어송라이터 취급을 해주는 경우가 많다[2]. 반면 미국, 유럽, 일본의 경우 인디 시장 자체가 저변이 꽤 넓고 인디씬에서 차근차근 커리어를 쌓고 메이저 데뷔를 하는 케이스가 많다 보니 많은 가수들이 기본적인 작사, 작곡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가요계에서의 싱어송라이터의 비중이 매우 큰 편이다. 호시노 겐, 우타다 히카루가 대표적인 예. 실제로 일본 연예계에서 싱어송라이터들은 최상급의 대우를 받으며 인기도 많다. 일본 싱어송라이터들의 작사 작곡 능력은 세계적으로 상당한 편.
대신 이 동네들(특히 미국)에서는 '기본도 안 된 게 작곡이랍시고 허접한 거 가져오는' 케이스가 너무 많다고 지적받기도 한다. 특히나 저작권료의 분배 문제 때문에 작사가, 작곡가, 편곡자의 구분이 뚜렷한 한국과 달리 다른 나라에서는 이들을 모두 에껴서 '송라이터'라고 부르다 보니 가사 몇 자 고치거나 하는 것만으로도 크레딧에 이름이 올라가기 때문에 곡에 기여한 바가 거의 없는데도 불구하고 싱어송라이터 취급을 받는 경우가 있다. 커리어 초기의 저스틴 비버가 이런 식으로 곡 작업에 참여한 후 싱어송라이터라며 마케팅을 한 대표적인 예시이다.
사실 레전드의 반열에 올라가려면 싱어송라이터로의 능력은 거의 필수라고 봐도 좋을 정도지만[3], 막상 데뷔부터 싱어송라이터인 경우는 보통 보컬로의 능력은 좀 부족하고 음악적 지식, 센스, 미디어 전략에 탁월한 경우가 꽤 있다. 그만큼 보컬 능력에 대한 컴플렉스가 강한 경우 역시 많다.[4]
특히 인디즈도 이미 확고한 시장의 지위를 확보한 미국, 일본의 신인 싱어송라이터들은 가진 재능에 비해서 목소리가 좀 부족해서[5] 소속사에서 의도적으로 일찍부터 음악 작업에 참여시키는 케이스가 많다. 그래도 대중은 울 가수는 자기가 써서 노래하는 정상적인 가수캐괴수임식으로 받아들이게 되고 이건 좋은 세일즈 포인트가 된다. 특히 일본 가요계는 가수들의 가창력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하향평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 단점을 메꿀 수 있는 싱어송라이터들 위주로 가요계가 발전했다고 보는 이도 많다. 하지만 이는 일본어의 문제라고 보기 힘든 게 오페라나 성악에서의 많은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태리어와 비슷하게 개음절 언어여서 부드러우며, 모음이 아,에,이,오,우 뿐이라서 밝은 느낌을 주는 데다가 목소리를 내지르기도 적합하다. 거기다가 유무성음으로 구별하는 언어인데다가 장단음 구분이 있기에.
하지만 프레디 머큐리, 스티비 원더, 엘튼 존 같은 역사에 남는 위대한 가수, 위대한 싱어송라이터들은 대부분 보컬로도 작곡가로도 대단한 업적을 남긴다. 단지 이런 가수들은 극히 일부고 싱어송라이터 중에서 이런 반열에 올라갈만한 경우 역시 아주 드문 것뿐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아이돌, 미국의 경우 틴 팝스타로 대표되는 기획형 가수가 많아지고, 기획형 가수가 아니더라도 작곡/편곡에 많으면 열 명도 넘는 사람이 달라붙는 게 일반적인 현재 상황에서는 보컬로 뛰어나다면 활동 초반에는 그쪽에 집중시키는 게 일반적이다. 시간이 갈수록 평균적인 질은 올라갈지언정 위대한 싱어송라이터는 나오기 어려워질 듯하다.
싱어송라이터의 분류
국내의 싱어송라이터인 유영석은 국내의 싱어송라이터를 두가지로 분류했다.
노래하는 작곡가
국내의 싱어송라이터인 유영석은 국내의 싱어송라이터를 두가지로 분류했다.첫 번째는 작곡가로 출발해서 '자신이 만든 노래는 자신이 가장 잘 표현한다'는 생각으로 가수를 겸하게 된 경우. 유영석, 유재하, 유희열, 윤상, 이성화, 정재일, 정재형 등이 이 경우다.
이 경우 보컬 능력이 비교적 평이한 경우가 많다. 즉 살짝 부족한 보컬로서의 가창력을 뛰어난 음악적 센스로 커버하는 경우. 윤상의 경우 고음이 안 올라가져서, 녹음 도중에 곡을 고치는 해프닝도 있었다. 자신의 정확한 음역대를 몰랐다고. 특히 유희열은 자유로 가요제에서 환관 창법에 너덜너덜한 가창력을 보여 멤버들과 파트너 재석에게 맹 디스 당했다.
작곡하는 가수
두 번째는 가수로 활동하면서 '나도 노래 한 번 써보자'는 생각으로 작곡까지 하게 된 경우다. 김건모, 성시경, 신승훈, 아이유, 윤종신, 윤하, 이상은, 이승환, 이선희, 임창정, 종현[6], 정엽, 등이 이 경우다.
이런 경우엔 본인이 작곡을 하고 편곡이나 작사는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작곡하는 가수' 계열의 아티스트가 쓴 곡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노래하는 작곡가' 계열보다 음악적으로는 다소 단순하지만 반대로 가창에서의 난이도가 높은 곡이 많다는 것. 이영현의 '체념'이 대표적인 예. 그냥 하면 되는데, 왜 못해? 아이러니하게 윤종신의 경우 현재 가수 보다는 작곡가, 프로듀서로 훨씬 인정받는다. 이승철이 라디오스타에 나와서 윤종신 보고 '가수 아니잖아. 프로듀서지' 라고 농담할 정도.
난 두가지 다한다
마지막은 가수 데뷔 후 처음부터 두 가지 모두 도맡았고 결과가 성공적인 경우다. 이 분야가 사람들이 생각하는 소위 예술가 싱어송라이터의 이미지에 가장 잘 들어맞는 듯. 조용필[7],G-DRAGON, 한대수, 김광진, 김원준, 김종완, 나얼, 윤건, 김동률, 김윤아, 김창완, 김현철, 박정현,서태지,소연((여자)아이들), 신해철, 하현우, 터틀맨, 이적, 장범준[8], 정준일[9], 조규찬, 자이로(가수), 멜로망스, 볼빨간사춘기, 지코, 타블로,' 악동뮤지션', 김진호(SG워너비), 진영, 정용화, 헤이즈(가수), RM 등이 이 경우다.
이 분류의 싱어송라이터들이 공유하는 특징은 단순히 곡의 가사를 쓰고 메인 멜로디를 만드는 것을 벗어나서 편곡 작업을 스스로 하는 프로듀서라는 점이다. 주로 밴드 음악을 기반으로 한 록 음악과 재즈 싱어송라이터, 그리고 미디 음악을 기반으로 하는 힙합과 일렉트로니카의 싱어송라이터들이 여기 해당하게 된다. (컨템포러리 R&B의 경우도 더 이상 힙합과 작업 방식을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주로 이쪽에 속한다.) 밴드 음악, 힙합, 일렉트로니카의 경우 당연히 작곡 작업과 편곡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따로 생각할 수 없다.
나얼의 경우 윤건이 작곡한 곡인 벌써 일년으로부터 크게 성공을 시작하여 급기야 솔로 활동에서 자신이 직접 작곡한 곡인 바람기억,같은 시간 속의 너,기억의 빈자리를 대중적으로 인정받고 크게 히트 시킨다.
위에서 언급한 장르인 힙합 → 밴드 → 일렉트로니카에 다 손댔고 모두 성공했으며 이제 세 가지를 신나게 뒤섞고 있는 서태지가 이 분야 끝판왕이며, 2010년대 이후의 아티스트로는 장범준과 볼빨간사춘기가 대표적이다. 악동뮤지션의 이찬혁도 기타 하나에서 시작해 악동뮤지션의 모든 곡을 작사, 작곡, 프로듀싱하고, 발라드, 댄스, 힙합, EDM, 재즈, 트로트까지 다양한 장르의 곡들을 만들고 시도하고 있다.
볼빨간사춘기는 데뷔때부터 두 명의 멤버가 거의 모든 수록곡을 작곡하였다. 특히 멤버 안지영은 우주를 줄게, 여행, 좋다고 말해 등의 메가 히트곡을 남기며 2020년 4월 현재 가온차트 1억 스트리밍 곡 최다 작곡 2위에 랭크 될 만큼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싱어송라이터라고 말할수 있다.[10]
015B의 정석원이 작사 작곡한 곡 ‘꿈에’로 유명한 가수 박정현은 사람들이 잘 모르지만 처음부터 싱어송라이터로 데뷔하였다. 1집에서 인트로 트랙을 직접 편곡까지 했으며, 8집까지 자작곡이 최소 2곡이상 포함되어있다. 6집의 경우는 2곡 제외 자작곡이다. 편곡 작업은 종종하는 편인데 피아노로만 쓴 몇가지 곡과, 다른악기도 사용한 5집의 <Ode>, <미래>, 7집의 <비가> 등이 있다.
LE의 경우 EXID의 히트곡(<위아래>, <Ah Yeah>, <Hot Pink>, <LIE>)에 모두 프로듀서로 참여해 상당히 주목받고 있다.
진영은 아이돌 프로듀서 중 단독 작곡 부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B1A4 앨범의 음악 프로듀서를 맡고 있다. 편곡 또한 늘 다른 아티스트와 공동으로 진행했지만 정규3집 수록곡 멜랑꼴리와 미니 7집의 타이틀곡 Rollin'부터는 혼자서 진행한다. 뿐만 아니라 레코딩, 믹싱까지 관여할 정도. 본인 그룹의 노래 뿐만 아니라 걸그룹 곡에서 많은 호평을 받았는데, 대표곡으로 같은 곳에서, 벚꽃이 지면, 한발짝 두발짝 등이 있다. 작사력 또한 훌륭하다.
우지 또한 데뷔때부터 세븐틴 앨범의 모든 곡을 작사작곡하는 앨범 프로듀싱 담당이며, 아이오아이의 '소나기' 등을 프로듀싱했다.
G-DRAGON의 경우 이 분야에서는 말이 필요없는, 그야말로 k-pop에 있어 가장 성공한 그룹중 하나로 평가 받는 아이돌 그룹인 BIGBANG의 전곡을 작사, 작곡을 담당했으며 심지어 그가 처음으로 단독으로 작사, 작곡한 거짓말은 빅뱅의 제 1 전성기를 가져다준 히트곡이다. 이외에도 수많은 히트곡을 탄생시키며 말 그대로 K-POP의 왕으로 군림하고 있다.
세 번째 분류의 아티스트들도 살짝 나눠볼 수 있는데, '데뷔 이후로 자신의 곡 작업에 집중한 싱어송라이터'와 '다른 가수에게 곡을 주어, 작곡가로도 유명한 싱어송라이터'로 볼 수 있다. 김윤아의 경우 정말 자우림앨범과 본인의 솔로 앨범에만 곡을 실을 뿐 다른 가수에게 곡을 주지 않기로 유명한데, 데뷔 이후 20년 동안의 경력 동안 장나라와 슈퍼주니어에게 각각 한 곡씩, 두 곡을 써 주었을 뿐이다. 작사도 친구 박정현의 곡 두개를 작사한것이 거의 전부이다. 서태지의 경우도 원미연과 양현석에게 한 곡씩 주었을 뿐. 반면 김동률의 경우 이승환에게 준 <천일동안>, 김원준에게 준 <Show>(쇼 끝은 없는 거야~), 장혜진에게 준 <1994년 어느 늦은 밤>이 각각의 가수들의 앨범 타이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예 대표곡이 될 정도로 작곡가로도 상당히 유명하다
장르로서 싱어송라이터
사실 영미권에서의 싱어송라이터라는 단어는 장르적인 의미가 담겨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미권에서 일컫는 싱어송라이터의 이미지는 '화려한 퍼포먼스나 보컬 능력 대신 시적인, 혹은 사회비판적인 가사와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멜로디의 자작곡에 비중을 둔 블루스/포크 뮤지션' 으로, 밥 딜런으로 대표되는 음유시인 이미지의 뮤지션을 묘사할 때 주로 쓰인다. 위키피디아 영문판에서는 '전통적인 의미의 싱어송라이터'와 단순히 '작곡과 노래를 같이 하는 가수'를 따로 분류하며, AllMusic, Rate Your Music은 Singer/Songwriter를 별개의 장르로 분류하고 있다..
'기타 정보 유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7.29 |
---|---|
볼보 에 대해알아보자 (0) | 2020.07.28 |
류현진에 대해알아보자 (0) | 2020.07.25 |
부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7.24 |
스티븐 호킹에 대해알아보자 (0) | 2020.07.21 |